390. 이갑녕(李甲寧) - 상해거주민 조선인회 회장, 계림청년단 단장, 일본 외무성 촉탁
391. 이갑용(李甲用) - 중추원 참의, 경남도회 의원, 고성면 협의회원
392. 이개재 - 노덕술 호위경관
393. 이경림(李景林) - 고등계 형사
394. 이경우(李卿雨) - 일본 호세이대학 경제학부 졸업, 남작(이규항의 손자)
395. 이관석(李官錫) - 의사
396. 이광수(李光洙)
조선문인협회 회장, 조선임전보국단 준비위원, 조선문인보국회 이사, 대화동맹 이사, 대의당 간부
광복 후, 흥사단 국내위원회
이계한(李啓漢 : 1949년에 반민족행위처벌법에 따라 반민특위에 검거되었다.
397. 이교식(李敎植) - 중추원 참의
398. 이구범(李九範) - 경기도경찰청 경부보, 고등계 형사
광복 후, 인천시회 의원, 중부경찰서장, 수도청 부청장
399. 이귀호(李龜鎬)
400. 이규상(李揆尙) - 남작혐의
401. 이규재(李奎載)
402. 이극일(李克一) - 고등계 형사
403. 이근수(李瑾洙) - 중추원 참의, 양구군수
404. 이근택(李根澤) - 조선군 촉탁
광복 후, 조선민족청년단 위원
405. 이기권(李基權) - 관동군 촉탁, 종로경찰서 고등계 주임
406. 이기동(李起東) - (주)일선기업 상무 취체역
407. 이기방(李基枋) - 충남지사, 황해도 참여관, 함북 참여관
408. 이기승(李基升) - 화양의숙 설립, 중추원 참의
409. 이기용(李琦鎔)
자작(1922년 작위를 물려받음), 일본귀족원 의원, 대원군의 큰 조카인 완임군의 큰아들, 고종황제의 5촌 조카
410. 이길석(李吉錫)
411. 이대우(李大羽) - 대구경찰서 고등계 형사
광복 후, 경북 경찰국 수사과장
412. 이덕용(李德鎔) - 후작(이재각의 후손, 1935년 작위를 물려받음), 중추원 참의
413. 이덕주(李德柱) - 후작(이해창의 후손, 1945년 작위를 물려받음)
414. 이덕항(李德抗)
415. 이동욱(李東旭) - 목사
광복 후, 소년체육협회 부회장
416. 이두철(李斗喆) - 동화백화점 사장
광복 후, 경성상공회의소 대의원
417. 이린희(李麟熙) - 고리대금업, 의열단의 독립운동자금 요구 받고 밀고
418. 이만수(李晩秀) - 고등계 형사, 고성 고무공업사 사장, 애국금헌성회 위원
419. 이명구(李明求)
경성의학전문대학 졸업, 의사, 도회 의원, 중추원 참의, 임전보국단 충북지부장, 국민총력연맹 이사
420. 이명호(李明鎬) - 부회 의원, 국민총력연맹 간부
광복 후, 인천시의원, 대한상공보국회 회장, 제1대 국회의원선거 출마
421. 이명흠(李明欽) - 경부, 신의주경찰서 고등계 형사
광복 후, 강원도 경찰청 부청장
422. 이문환(李文煥) - 금광철물공장(수류탄 등 제조) 운영, 광주사관구에 총부
조선기계제작소 경영(1949)
423. 이민호(李敏浩) - 청주경찰서 고등계 형사
424. 이범익(李範益)
춘천군수(1912), 중추원 참의, 중추원 고문, 강원 지사(1929), 충남 지사(1940), 경남 참여관(1937)
425. 이병길(李丙吉)
후작(이완용의 양자, 1926년에 작위를 물려받음), 중추원 참의, 임전보국단 이사, 국민총력조선연맹 이사
426. 이병열(李丙烈) - 중추원 참의, 국민협회
427. 이병옥(李丙玉) - 남작(이윤용의 손자, 1938년에 작위를 물려받음)
광복 후, 대한독립청년연합 대표
428. 이병주(李丙周) - 남작
광복 후, 한민당 발기인
429. 이복성(李福成) - 충북 청주경찰서 고등계 형사
광복 후, 제3대 국회의원
430. 이봉수(李鳳洙)
431. 이산연(李山衍) - 청주고보 졸업, 조선신궁 부설 황전강습소 졸업, 청주신사의 출사(出仕), 신직(神職)
432. 이상(李尙)
433. 이상우(李相禹) - 언론인
434. 이상협(李相協) - <매일신문> 초대 부사장, 관동군 촉탁, 임전보국단 의원(1941)
광복 후, 자유신문 부사장
435. 이상홍(李相洪)
436. 이성구(李成求) - 면직원
437. 이성근(李聖根)
함북 참여관(1932), 충남지사(1939), 평북 고등과장, 경시, 대화동맹 이사, 대의당 의원, 임전보국단 이사, 임전대책협의회 위원, 국민총력조선연맹 기획위원, <매일신보> 사장
광복 후, 대동청년단 기획부장, 조선민족청년단 서울시단부 위원
438. 이성엽(李成燁) - 전라북도 경찰부 고등계 형사, 김제경찰서장
439. 이성환(李晟煥) - 조선언론보국회 상무이사, 국민동원 총진회, 임전보국단 이사, 조선체육회 이사
440. 이수선(李秀先) - 헌병보
광복 후, 면장
441. 이승구(李承九) - 중추원 참의
442. 이승수(李승洙)
443. 이승우(李升雨)
중추원 주임참의, 대의당 위원, 대화동맹 심의원,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상무이사, 흥아보국단 상임위원, 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 조선사상범보호관찰심사회 위원
광복 후, 경성신탄총제회사 사장
444. 이안순(李顔淳) - 강원도 고등과 형사부장
광복 후, 전북도청 사찰과장
445. 이여식(李呂寔) - 목사, 독립운동가 밀고
446. 이연(李演)
447. 이영개(李英介) - 박춘금의 부하, 금강항공주식회사 대표, 도쿄의 황도회 부회장
448. 이영구(李英九) - 국방헌금
449. 이영두(李永斗)
450. 이영배(李榮培) - 광주경찰서 고등계 형사, 장성경찰서 사법주임
451. 이영수(李影洙)
452. 이영우(李榮雨) - 부산 북서, 남서 고등계 형사
453. 이영주(李永柱) - 백자(이지용의 큰 손자, 1928년 작위를 물려받음)
454. 이영찬(李泳贊) - 중추원 참의, 평안도회 의원, 임전보국단, 흥아보국단 평북위원
455. 이완종(李完種) - 남작(이건하의 손자, 1919년 작위를 물려받음)
456. 이용제(李龍濟) - 문인
457. 이원구(李元九) - 자작 혐의(부친 이창훈이 1947년 사망)
광복 후, 교원
458. 이원보(李源甫)
중추원 참의, 평북 참여관(1935), 전남 참여관(1937), 전북지사(1945), 종로경찰서 경부, 경기도 형사과장, 평남 경시
459. 이원호(李元鎬) - 남작(이용원의 후손, 1911년 작위를 물려받음)
460. 이위영(李胃榮)
461. 이의홍(李宜鴻)
462. 이재갑(李載甲) - 대의당 의원
463. 이정립(李正立) - 목사
광복 후, 한민당 발기인, 애국금헌성회 위원
464. 이종덕(李鍾悳) - 중추원 참의, 임전보국단 의원(1941), 면협의원
465. 이종린(李鍾麟)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위원, 임전보국단 상무이사(1941), 조선종교단체전시보국회 천도교 대표위원(1943),
제헌국회의원, 제2대 국회의원, 천도교 총본부 위원
466. 이종섭(李鍾燮) - 중추원 참의, 전남포부회 부의장
467. 이종순(李鍾淳) - 전남 경방단장
광복 후, 제헌국회의원선거 참여
468. 이종승(李鍾承) - 자작(자작 이충세의 상속인, 1934년 물려받음)
469. 이종은(李鍾銀)
서천군수, 전남 참여관(1932), 홍천면장
470. 이종찬(李鍾贊) - 자작(이하영의 아들), 일본 육사 출신
광복 후, 국방부 제1국장 겸 정훈과장(1949), 수도경비사령관
471. 이종하(李鍾河) - 고등계 형사
광복 후, 전주 고등계 형사(1949)
472. 이종형(李鍾滎)
총독부 경무국 밀정, 관동군 촉탁, 친일단체 총진회 조직, 일본 관동군 토공군사령부 고문
광복 후, 민중당 당수, 대동신문사 사장, 독촉국민회 선전부장
473. 이주영(李周永)
474. 이준성(李俊聖) - 독립운동 헌병대에 밀고, 포상금 수령
475. 이중화(李重華) - 인천경찰서 고등계 형사(1920), 순사부장(1930)
광복 후, 한민당 발기인, 애국금헌성회 위원
476. 이진하(李鎭河) - 전주경찰서 고등계 형사
477. 이창근(李昌根) - 충북지사, 경북지사, 경북 참여관, 경기도 참여관(1939)
478. 이창수(李彰洙) - 남작(이용원의 손자, 1939년 작위를 물려받음)
479. 이창수(李昌洙) - 매일신문 기자
광복 후, 민족대표(이승만) 외교사절후원회 이사, 동아일보 기자, 미군정청공보부 여론국장
480. 이창영(李昌永) - 경남 산청경찰서 고등계 형사
481. 이춘옥(李春玉) - 고등계 형사
482. 이충호 - 퇴계 이황 후손
483. 이취성(李翠星) - 일명 강신상, 이종영의 부인, 소학교원
광복 후, 대한일보사 사장, 여자국민당 청년부장
484. 이택주(李宅柱) - 자작
485. 이풍한(李豊漢) - 남작(이종건의 양자, 1931년 작위를 물려받음)
486. 이필순(李弼純) - 헌병보, 인천부청 재무계장
광복 후, 인천부청 관재계장
487. 이한규(李翰圭) - 학교 평의원
488. 이항발(李恒發) - 경무국 촉탁, 이각종과 대동민우회 발기
광복 후, 제헌국회의원
489. 이항식(李恒植) - 중추원 참의
490. 이해국(李海菊) - 자작(이재곤의 손자, 1943년 작위를 물려받음)
491. 이해산(李海山) - 협화회 회장
492. 이해승(李海昇) - 후작(풍선군 이한용의 아들)
493. 이해용(李海用) - 함북 참여관(1941), 경북 참여관(1943)
광복 후, UN조선위원단 환영위원
494. 이행열(李行烈) - 허위증거로 김태석 옹호
495. 이향우(李鄕雨) - 자작
496. 이현경(李賢卿) - 근우회 중앙위원, 동아일보 기자
497. 이홍묵(李鴻黙) - 자작
498. 이홍재(李弘宰)
499. 이희적(李熙迪) - 중추원 참의, 신의주부회 의원, 흥아보국단 평북위원, 조선임전보국단 의원(1941)
500. 임달수(林達洙) - 정치사상 관련자
광복 후, 해림양조 사장
501. 임명수(林明洙)
중추원 참의, 충남도회 의언, 흥아보국단 충남의원, 임전보국단 의원, 국민총력조선연맹 이사
502. 임명순(林明珣) - 전북 진안 군수, 남원 군수
503. 임병석(林炳奭) - 목사
504. 임병호(林炳浩)
505. 임병희(林炳熙)
506. 임석규(林錫圭) - 헌병보조원, 고등계 형사
507. 임억수(林億壽) - 경남 의령, 수산경찰서 고등계 형사
507. 임영래(林榮來)
509. 임의재(任宜宰) - 자작(임선준의 손자, 1921년 작위를 물려받음)
510. 임창수(林昌洙)
중추원 참의, 충남도의회 의원, 국민총력조선연맹 이사(1940). 임전보국단 이사(1941)
511. 임흥순(任興淳)
경성부회 의원, 조선임전보국단 의원, 학도병성동익찬위원회 위원장, 조선임전보국단 의원(1941), 임전대책협의회 의원(1941)
광복 후, 제2,3대 국회의원, 서울시장
512. 임~재(任~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