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림 / 李華林
본명 : 이춘실 / 李春實
(1905년 - 1999년 2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조선의용군에서 활동한 항일운동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중국 의사
본명 : 이춘실 / 李春實
(1905년 - 1999년 2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조선의용군에서 활동한 항일운동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중국 의사
__.__.1905년 평양에서 태어남.
4남매 중 막내 (오빠 이춘성, 이춘식 - 항일운동가)
숭현소학교에서 유아 교육을 공부
01.03.1919 14살 3.1운동에 참가
평양 학생조직 역사문학연구회 참가>사회주의 사상을 접함
군산과 청진에서 유아원(어린이집) 근무 (교사 활동)
__.__.1927 조선공산당에 입당
4남매 중 막내 (오빠 이춘성, 이춘식 - 항일운동가)
숭현소학교에서 유아 교육을 공부
01.03.1919 14살 3.1운동에 참가
평양 학생조직 역사문학연구회 참가>사회주의 사상을 접함
군산과 청진에서 유아원(어린이집) 근무 (교사 활동)
__.__.1927 조선공산당에 입당
오빠들은 일제의 탄압을 피해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으로
무장 항일 투쟁에 참여하였으나 이후 소식을 알 수 없다.
__.__.1930 25살 중국 상해로 망명
__.__.1930 25살 중국 상해로 망명
한글학자 김두봉의 소개로 임시정부에 접견 > 한인애국단 가입
이봉창, 윤봉길 등과 활동 (한인애국단 3인방)
이동해로 개명 (가명)
김구의 비서 역할>일제의 밀정 색출 및 처단 관여
이봉창, 윤봉길 등과 활동 (한인애국단 3인방)
이동해로 개명 (가명)
김구의 비서 역할>일제의 밀정 색출 및 처단 관여
08.01.1932 사쿠라다몬 의거 (일왕암살실패) - 이봉창
29.04.1932 상하이 훙커우 공원 의거 - 윤봉길
29.04.1932 상하이 훙커우 공원 의거 - 윤봉길
부부로 위장잠입, 이화림은 일본어를 못해 당일에는 윤봉길만 입장
훙커우 사건 이후 개인 희생에 의존한 테러리즘만으로는 독립을 이룰 수 없다고 판
__.__.1932 임시정부 자싱 방면으로 이전
__.__.1932 "혁명의 기지"로 불리던 광저우 이동 > 중산대학교에 입학
이화림이 임시정부를 따르지 않은 이유는 공산주의자로서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노선에 동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노선에 동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구의 만류에도 그녀는 사회주의자의 길을 선택했다.
그래서인지<백범일지>에는 이화림에 관한 아무런 관련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김구와 결별하였다.
중산대 법학과2학기 > 간호과
그래서인지<백범일지>에는 이화림에 관한 아무런 관련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김구와 결별하였다.
중산대 법학과2학기 > 간호과
유학생 김창국을 만나 결혼하여 아들 김우성을 낳는다. (초혼)
1935 늦가을 광저우에 온 의열단원 윤세주의 무장 투쟁 참여를 독려하는 연설에 감화.
>남편과 상의 끝에 홀로 조선민족혁명당이 있는 난징을 찾아갔다.
>남편과 상의 끝에 홀로 조선민족혁명당이 있는 난징을 찾아갔다.
__.01.1936 조선민족혁명당에 입당 > 당 부녀국 의료보건사업 담당자
__.07.1936 난징 조선부녀회 조직
07.07.1937 중일전쟁
중일전쟁 발발 후 충칭에서 활동 > 조선의용대에 합류
그 과정에서 15살 연상의 이집중(이종희) 조선의용대 총무부장과 재혼>이혼
중일전쟁 발발 후 충칭에서 활동 > 조선의용대에 합류
그 과정에서 15살 연상의 이집중(이종희) 조선의용대 총무부장과 재혼>이혼
조선의용대 총무조장 리집중(본명 이종희). 리집중은 의열단원으로 북경에서 김창숙, 류자명의 지시를 받고 밀정 김달하(이대 총장 김활란의 형부)를 처단한 인물이다.
1938년 봄, 이화림은 백범을 만났다. "동해(이화림의 가명)야! 너 아직도 공산주의자냐? 공산주의를 믿느냐?" "네, 저는 공산주의를 믿습니다. 저는 공산주의자입니다." "그럼, 우리 앞으로 다시는 만나지 말자꾸나." 백범은 이화림이 공산주의자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단호히 연을 끊었다. 이후 두 사람은 충칭에 머무는 동안 다시는 만나지 않았다.
__.03.1939 계림으로 이동>조선의용대 여자복무단 부녀대 부대장으로 임명
__.__.1941 여름 화북 팔로군 근거지로 이동
__.__. 1941 뤄양의 선견대 파견
이후 황하를 건너 타이항산의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합류
__.__.1942 화북조선인민간부훈련반에서 교육
졸업후 부녀대장으로 활동
__.__.1943 조선의용군 병원 근무
__.__.1944 옌안으로 이동 화북조선독립동맹 주석 김두봉의 휘하 근무
__.01.1945 옌안의과대학에 입학 (김무정 권유) > 옌안에서 해방을 맞음.
학업때문에 귀국하지 못함>졸업후 하얼빈에서 의사 생활
21.11.1946 중국 공산당에 입당
25.06.1950 6.25전쟁
조선인민군 제 6군단 소속으로 참전, 위생소 소장으로 복무
미군의 폭격으로 인해 다리에 부상을 입고 선양으로 간 후
__.__.1941 여름 화북 팔로군 근거지로 이동
__.__. 1941 뤄양의 선견대 파견
이후 황하를 건너 타이항산의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합류
__.__.1942 화북조선인민간부훈련반에서 교육
졸업후 부녀대장으로 활동
__.__.1943 조선의용군 병원 근무
__.__.1944 옌안으로 이동 화북조선독립동맹 주석 김두봉의 휘하 근무
__.01.1945 옌안의과대학에 입학 (김무정 권유) > 옌안에서 해방을 맞음.
학업때문에 귀국하지 못함>졸업후 하얼빈에서 의사 생활
21.11.1946 중국 공산당에 입당
25.06.1950 6.25전쟁
조선인민군 제 6군단 소속으로 참전, 위생소 소장으로 복무
미군의 폭격으로 인해 다리에 부상을 입고 선양으로 간 후
죽을 때까지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게 된다.
__.__.1955 중국으로 돌아감
선양의사학교 부교장
교통부 위생기술과 간부
16.03.1966 문화대혁명
문화대혁명 당시 반혁명분자로 낙인
__.__.1984 은퇴
__.__.1987 대련시 조선족 노인 협회의 명예 회장
__.__.1988 장춘시 조선족 사회 과학 일군협회의 고문으로 초빙
10.02.1999 전재산 5만원을 조선족학교에 전액기부하고 사망 (95세)
__.__.2017 이화림의 서훈을 추진한 적이 있다.
영화 파묘의 이화림의 모티브 (좌파배우 김고은 삭발이유)
__.__.1955 중국으로 돌아감
선양의사학교 부교장
교통부 위생기술과 간부
16.03.1966 문화대혁명
문화대혁명 당시 반혁명분자로 낙인
__.__.1984 은퇴
__.__.1987 대련시 조선족 노인 협회의 명예 회장
__.__.1988 장춘시 조선족 사회 과학 일군협회의 고문으로 초빙
10.02.1999 전재산 5만원을 조선족학교에 전액기부하고 사망 (95세)
__.__.2017 이화림의 서훈을 추진한 적이 있다.
영화 파묘의 이화림의 모티브 (좌파배우 김고은 삭발이유)
출처:
https://maily.so/almostfamous/posts/72nzngggrp5
위키백과
https://www.minjok.or.kr/archives/102293
https://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494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