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할것
http://www.ccd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726
단 하나의 증거 만으로 친일로 볼 수 있느냐라는 점은 매우 어려운 문제다.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짚었다.
적어도 3개 이상의 친일 행적일 기록이 남아있어야 친일인명사전에 등재
적어도 3개 이상의 친일 행적일 기록이 남아있어야 친일인명사전에 등재
김귀락
위안소 운영업자
https://www.stop.or.kr/brdthm/boardthmView.do?brd_id=BDIDX_mV49maYF8r081nc63vW96G&srch_menu_nix=hn8TL907&cont_idx=585
부녀공제회는 당시 상하이 거주 교포였던 공돈(孔敦) 권후원(權厚源) 강대형(姜大衡) 임영호(任永浩) 등 4인이 만들었다.
김성호(金聲浩, 1899년 ~ ?)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박태준 / 朴泰俊
(1900년 11월 22일 - 1986년 10월 20일)
(1900년 11월 22일 - 1986년 10월 20일)
https://www.nocutnews.co.kr/news/5183563
박충훈(朴忠勳, 1919년 1월 19일 ~ 2001년 3월 16일)
안중근 아들 안준생 호부견자
김기훈 / 金基勲 - 만주국군 7기
(1927년 2월 16일 - 생존)
김성룡 / 金成龍
(1926년 6월 5일 ~ 2002년 11월 9일)
일본제국 육군 오장
송요찬 / 宋堯讃
민병석 친일 애국금체회의 발기인이었고, 그의 아내 심경섭(沈卿燮)은 그 간사
옥만호 / 玉満鎬
주영복 / 周永福
일본육군비행학교 출신 소년비행병15기 > 카미카제 될뻔함
대한민국 공군 대장
김성룡 / 金成龍
(1926년 6월 5일 ~ 2002년 11월 9일)
일본제국 육군 오장
대한민국 공군 대장
김해창 / 金海昌 - 만주국군 5기
노진설 - 친일행적이 있음.
박승환 / 朴承煥 - 만주국군 7기
박진경 / 朴珍景 - 일본군 소위
송요찬 / 宋堯讃
일본제국 육군 조장
민병석 친일 애국금체회의 발기인이었고, 그의 아내 심경섭(沈卿燮)은 그 간사
이규동 / 李圭東
(1911년 11월 7일 - 2001년 9월 11일)
만주국군 4기
대한민국 육군 준장
옥만호 / 玉満鎬
(1925년 9월 2일 - 2011년 5월 13일)
일본육군비행학교 출신 소년비행병15기
정남수 / 鄭南洙
(1895년 11월 9일 - 1965년 7월 8일)
목사
정영두 / 鄭永斗 - 자작
(알수없음.)
정운갑 / 鄭雲甲
(1913년 5월 31일 - 1985년 12월 28일)
조용성 / 趙鏞星 - 만주국군 7기
주영복 / 周永福
(1927년 9월 30일 ~ 2005년 3월 14일)
일본제국 육군 오장
대한민국 공군 대장
대한민국 공군 대장
정순석 : 친일의혹 경찰
백농 최규동
최난수 /崔蘭洙 (일제 고등계 형사 출신, 제주비상경비사령부 직속 특별수사대 대장)
최재환 / 崔在桓 - 만주국군 7기
함병선 / 咸炳善
일본제국 육군 준위
허종범 - 간도특설대 추정
장발 / 張勃
(1901년 4월 3일 - 2001년 4월 8일)
(1901년 4월 3일 - 2001년 4월 8일)
https://www.newsnjoy.or.kr/news/articlePrint.html?idxno=11553
심응균은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소좌로 활동했다.
광복 이후 육군 중장을 지내며 현충원 안장자격을 취득했다.
http://giview.co.kr/news/article_print.html?no=7168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nonepapa&logNo=221624286819&navType=by
헌병 신상묵
헌병 박종표
헌병 박종표
경찰 노덕술
경찰 하판락
민보단장 이협우
경찰 이근안
경찰 이근안
http://www.amn.kr/20767
댓글 없음:
댓글 쓰기